doctor_bg_img

의료진 안내

scroll

Doctors

고상훈 사진

정형외과

고상훈 의료원장

- 어깨 관절 - 관절경 수술 - 외상 - 팔꿈치

스케줄표

구분토요일
오전수술진료수술진료수술수술
오후수술수술수술수술수술x

※ 상기 일정은 상황에 따라 변동 될 수 있습니다

※ 토요일 진료는 대표번호(052-226-7114)로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.

※ 진료 당일 수술이 있을 경우, 대기 시간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화 문의 바랍니다. 

약력

down_icon_w
  • 미국 하버드의대 교환교수
  • 의학박사(정형외과 전문의)
  • 이대목동병원 전임수련
  • 연세대학교 관절경 연수
  • 삼성의료원 관절경 연수
  • 울산의과대학 정년보장교수
  • 울산대학교병원 관절센터 소장 역임
  • 울산대학교병원 스포츠의학센터 소장 역임
  • 울산대학교 의료기기안정성센터장 역임
  • 연보위원회 위원장
  • 울산대학교병원 정형외과 과장 역임
  • 연세대학교 신촌세브란스병원 관절경 연구원
  • 성균관대학교 삼성의료원 관절경센터 연수
  • 이화의대 목동병원 전임수련/의공학연구소 전임연구원
  • 대한견주관절학회 21대 학회장
  • 대한정형초음파학회 14대 학회장
  • 대한관절경학회 편집위원장
  • 대한정형스포츠의학회 학술위원장 역임
  • 제28대 대한정형스포츠의학회 학회장
  • 제9대 대한운동계줄기세포재생학회 학회장
  • 2022년 대한정형외과학회 부산울산경남 이사장

활동내역

down_icon_w
  • <저서> 스포츠의학 - 어깨관절의 스포츠손상 - [대한정형스포츠의학회]
  • <저서> 견관절 주관절학 2판 [대한견주관절학회]
  • <저서> 목과 어깨통증의 진단과 치료 [메디안북]
  • <저서> 정형외과학 [대한정형외과학회]
  • <저서> 골절학 [대한골절학회]
  • <저서> 회전근 개 질환 [대한견주관절학회]
  • <저서> 견관절 주관절학 [대한견주관절학회]
  • <저서> 관절경외과학 [대한관절경학회]
  • <저서> 흔히보는 정형외과 외래진료 가이드북 [메디안북]

학회, 논문

down_icon_w

    <논문>

    1. SCI: Excellent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after arthroscopic reduction and double row-suture bridge for large-sized greater tuberosity fractures of the humerus. KSSTA (Knee Surg  Sports Traumatol Arthrosc.) (IF 3.3). 2024;1-7. 2024년 8월호.  
    2. SCI: Virtual platform to tackle challenges associated with lifelong medical education during the COVID-19 pandemic. BMC Med Educ. (IF: 2.7) 2024 Jun 26;24(1):697. 2024년 6월호. 제1저자.  
    3. SCI: Musculoskeletal injuries in table tennis during competition: a systematic review.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Medicine (IF 2.0). 2024;45:267-271. Apr. 2024년4월호. 제1저자.  
    4. SCI: Sports-related fractures in the geriatric population at a level I trauma center. BMC Geriatrics (IF 3.4). 2024;24:464. 2024년 5월호. 제3저자.  
    5. SCI: Risk factors of tear progression in symptomatic small to medium sized full-thickness rotator cuff tear: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 ratio of supraspinatus and work level. Journal of Shoulder and Elbow. 32:565-572. March-2. 2023년 3월호. 제1저자.  .  
    6. SCI: Progression of sympotomatic partial-thickness rotator cuff teas. Association of initial tear involvement and work level. Orthropedic Journal of Sports Medicine. 1-8. June-27. 2022년 6월호. 제1저자.    
    7. SCI: Predictive variables for interventional angiography among patients with knee hemarthrosis. Diagnostics, 976,1-9. 12-4. 2022년 4월호. 제1저자.  
    8. SCI: 다발신경블록과 사각근간 신경블록의 비열등성 검정을 이용한 관절경 회전근개 봉합의 비교. J of Orthopaedic Surgery. 2021년 7월 8일 Published online. 제1저자.   
    9. SCI: 쇄골간부골절 수술에서 최소침습법과 관혈적정복술을 이용한 상견갑신경 손상의 비교. Archives of Orthopaedic and Trauma Surgery. Online~online. 2021년 5월 9일 Published online. 제1저자.   
    10. SCI: 변형된 매트리스 잠김 봉합법을 이용한 관절경 감시하의 일렬 상견갑근 건 봉합술: 단순 봉합법과의 무작위 전향적 비교. 미국 관절경 학회지. 제 24권 9호. 1005-1012. 2008. 제 1저자 및 통신저자.   
    11. SCI: 반월상 대퇴 인대의 반월상 연골판 안정화 기능 -돼지를 이용한 실험-. 미 관절경 학회지. 22-8: 872-877, 2006. 통신 저자. 제9회 울산의림대상 수상논문
    12. SCI: 견관절 화농성 관절염의 관절경 치료. 미국정형외과학회지88권 1802-1806, 2006. 8월 1일. 제5저자. Arthroscopic management of septic arthritis of the shoulder joint. JBJS, 88-A: 1802-1806, 2006. 5TH author. 
    13. SCI: Popliteal cystoscopic excisional debridement and removal of capsular fold of valvular mechanism of large recurrent popliteal cyst. J of Arthroscopic Related Surgery(SCI), 20-1:37-44, 2004, January; 제 1저자,통신저자.
    14. SCI: 견봉쇄골관절 탈구의 분류와 치료의 타당성. J Shoulder Elbow Surg. 2014;23:665-670. 제5저자.  
    15. SCI: 관절경 견봉성형술에서 초음파 혹은 근전도 감시하의 상견갑신경 차단술: 전향적 이중맹검 동일군 무작위 연구. 미국관절경학회지, 794-801. 29-5. 2013년 5월호. 제1저자.  
    16. SCI: 한국 견관절 평가점수법: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평가방법의 발전과 유효성. 미국견주관절학회지, 18-5: 689-696, 2009년 9월호. 기타 7 저자. 
    17. SCI: 광근개 봉합법을 이용한 소범위 및 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서 단순봉합법과의 전향적 비교. 미국관절경학회지, 583-589. 25-6. 2009년 6월호. 제1저자, 통신저자.
    18. SCI: Arthroscopic Treatment of Septic Arthritis of the Hip. CORR(Clinical Orthopaedics Releated Research), 407: 211-214, 2003. ; 제3저자.
    19. 학진: Electrocardographic Abnormalities following Syncope during Warm-up in a Professional Football Player: A Case Report. 대한스포츠의학회지 39권 3호. 131-134. 2021년 9월호. 제2저자.  
    20. 학진: 봉합 불가능한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서 상완 이두근 건 장두를 이용한 관절경하 부분 봉합술의 장기 추적 관찰 결과. 대한정형외과학회지55권2호. 135-142. 2020년 4월호 제 1저자.  
    21. 학진: Comparison of Arthroscopically Guided Suprascapular Nerve Block and Blinded Axillary Nerve Block vs. Blinded Suprascapular Nerve Block in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: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. CiOS, 9권3호: 340-347. 2017년 9월호. 제1저자.  
    22. 학진: Minimally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Using a Screw Compression Method for Treatment of Humeral Shaft Fractures. CiOS, 9권4호: 506-513. 2017년 12월호. 제1저자.  
    23. 학진: The Influence of Arthroscopic Remplissage for Engaging Hill-Sachs Lesions Combined with Bankart Repair on Redislocation and Shoulder Function Compared with Bankart Repair Alone. CiOS, 8권4호: 428-436. 2016년 12월호. 제1저자.  
    24. 학진: Remote cerebellar hemorrhage due to cerebrospinal fluid leakage or meningitis after spinal surgery – case report -. 대한척추외과학회지. 23권1호: 30-35. 2016년 3월호. 제1저자 
    25. 학진: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rimary frozen shoulder in a Korean population: a retrospective analysis of 1373 cases. 대한견주관절학회지 18권 3호. 133-137. 2015년 9월호. 제10저자.  
    26. 학진: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of minimally invasive anterior plating and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in humerus shaft simple fracture. 대한견주관절학회지 18권 2호. 75-79. 2015년 6월호. 18-2:75-79,2015. 제1저자.       
    27. 학진: 견갑골 결손을 동반한 재발성 후방견관절 탈구에서 장골 골이식술. 대한견주관절학회지 176권 4호. 190-193. 2014년 12월호. 제1저자. 
    28. 학진: 상완골 단순골절에서 MIPO 술기를 이용한 치료법. 대한견주관절학회지 16권 1호. 27-32. 2013년 6월호. 제1저자.      
    29. 해외저널 (Medline, PMC), 종설: 변형된 방법을 이용한 일열 회전근 개 봉합법 (종설). World Journal of Orthoepdics. 2012년 12월18일. 2012; 3권-12호:1-5. 제1저자,  
    30. 학진: 큰 크기의 회전근 개 파열에서 UU-Tension Band Suture를 이용한 관절경 감시하의 봉합술 – 단순 봉합술과의 비교-. 대한견주관절학회지 15권 2호. 99-108. 2012년 12월호. 제1저자.     
    31. 해외저널 (Medline, PMC), KCI: 앉은 자세에서 시행된 견관절 관절경 수술에서 뇌 산소 포화도의 측정. 대한마취과학회지. 2012;63권-4호:297-301. 제1저자,     
    32. 해외저널 (수술술기, Medline, PMC): 회전근개 파열에 대한 울산대학 (UU) 봉합법과 메이슨 알렌 봉합법의 비교 –수술술기-. J of Orthopedics. 2012년9권3호 10페이지. 제1저자 및 통신저자.    
    33. 학진: 관절경적 매트리스 잠김 봉합술을 이용한 회전근 개 소범위 및 중범위 파열의 새로운 치료방법과 해부학적인 결과. 대한견주관절학회지 14권 2호. 229-235. 2011년 12월호. 제1저자.    
    34. 학진: 전방 견관절 불안정성에서 Hill-Sachs 병변의 관절경적 Remplissage. 대한견주관절학회지 14권 1호. 53-58. 2011년 6월호. 제1저자.  
    35. 학진: 회전근 개 파열의 관절경하 봉합에서 새로운 봉합 방법의 이용. 대한견주관절학회지 14권 1호. 67-72. 2011년 6월호. 제1저자.  
    36. 학진: 전방 견관절 불안정성의 Hill-Sachs 병변의 치료에서 Remplissage의 Review. 대한견주관절학회지 14권 1호. 134-139. 2011년 6월호. 제1저자.  
    37. 학진: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서 관절경 감시하의 봉합술 –UU stitch를 이용한 이열봉합의 임상 결과 및 유효성-. 대한견주관절학회지 13권 2호. 250-259. 2010년 12월호. 제1저자 
    38. 학진: 광범위한 Hill-Sachs 병변에서 Remplissage 술기를 이용한 관절경적 재건술 – 최소 6개월 이상 추시결과 -. 대한견주관절학회지 13권 1호. 47-52. 2010년 6월호. 제1저자 
    39. 학진: 불응성 주관절 외상과염에 대한 혈소판 풍부 혈장 주입 치료의 임상적 결과. 대한견주관절학회지 13권 1호. 58-63. 2010년 6월호. 제1저자.  
    40. 학진: 상부 견갑하 건 완전파열의 관절경 하 봉합술과 변연절제술의 전향적 비교. 대한견주관절학회지 13권 1호. 79-85. 2010년 6월호. 제1저자.  
    41. 학진: 유경나사를 이용한 견갑골 관절와 골절의 관절경적 정복 및 내고정 – 증례 보고 - . 대한견주관절학회지 13권 1호. 127-131, 2010년 6월호. 제1저자 및 통신저자.  
    42. 학진: 광범위한 Hill-Sachs 병변을 동반한 재발성 견관절 불안정성에 대한 Remplissage 술기를 이용한 관절경적 안정화 술식. 대한스포츠의학회지 28권 1호. 64-67. 2010년 6월호. 제1저자 및 통신저자.  
    43. 학진: 회전근 개 파열의 봉합법에서 변형 ML법과 변형 MA법의 생역학적 비교. 대한정형외과학회지45권2호. 120-126. 2010년 4월호 제 1저자.  
    44. 학진: 난치성 익상 견갑의 대흉근 이전술 – 증례 보고 -. 대한견주관절학회지 12권 2호. 236-239. 2009년 12월호. 제1저자.   
    45. 학진: 회전근 개 파열의 봉합에서 UU 봉합법은 변형된 MA (Mason-Allen) 봉합법을 대치할 수 있는가? – UU 봉합법과 변형된 MA봉합법의 생역학적 비교-. 대한견주관절학회지 12권 2호. 207-214. 2009년 12월호. 통신저자: 고상훈.  
    46. 종설: 내측으로 퇴축된 대범위 회전근 개 파열. 대한관절경학회지 13권 3호. 212-219. 2009년 10월호. 제1저자.   
    47. 학진: 골 결손이 동반된 전방 견관절 불안정성에서 관절경적인 수술 술기. 대한견주관절학회지 12권 1호. 102-108. 2009년 6월호. 제1저자.   
    48. 학진: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의 관절경하 재건술 -전하방 관절낭 중첩술과 하방 관절낭 중첩술의 전향적 비교 -. 대한견주관절학회지 12권 1호. 27-32. 2009년 6월호. 통신저자. 저자명: Warner JJP, 고상훈, 전형민.  
    49. 학진: 중범위 전층 회전근 개 파열에서 광범위 근개 봉합법을 이용한 관절경 하 봉합술. 대한정형외과학회지. 제43권 1호: 93-100, 2008. 제1 저자.  
    50. Arthroscopic repair of Type II SLAP lesion with bioabsorbable knotless suture anchor: surgical technique and clinical results. 대한견주관절학회지. 제10권 1호: 59-64, 2007. 통신저자.  
    51. 제1 저자. Comparison of arthroscopic versus mini open repair in medium and large sized full thickness rotator cuff tear – short term preliminary results-. J of Korean Orthop. Soc. Sports Med, 3-1: 73-80, 2004. 1st author.